인구쇼크와 나의 미래
-
에필로그_인구지도를 펼쳐 미래를 항해하라 2018. 11. 02 인구쇼크와 나의 미래는 ‘인구학적 관심’이라는 시선을 통해 인구 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소개해왔습니다 ‘인구쇼크와 나의 미래’ 시리즈의 마지막 글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 사회 인구변화의 추이와 각 분야에 불어 닥칠 변화들을...
-
37편. 인구쇼크 해결, ‘마법지팡이’는 있다? 2018. 10. 30 ▲ 출처:World Atlas ‘한강의 기적(Miracle on the Han River)’. 세계인들은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을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대한민국은 지난 50여 년 동안 그야말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세계에서 제일 가난했던 나라는 반세기 만에...
-
36편. 생명존중 문화가 ‘저출생’ 해법이다? 2018. 10. 26 ▲ 유모차를 끌고 산책 중인 라테파파들. 출처: bbc ‘라테파파’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라테파파는 한 손에 커피를 들고 한 손으로 유모차를 밀며 육아를 하는 북유럽 국가의 아빠를 부르는 말입니다. 그 중에서도 ‘라테파파의...
-
35편. 이민자 수용의 경제효과는? 2018. 10. 23 ▲ 독일은 적극적인 이민자 유입 정책으로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은 지금도 격렬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위) yahoo, (아래) spiked #1. 싱가포르 아시아의 금융허브 싱가포르는 1980년대부터 저출산과...
-
34편. 노인 기준 연령으로 적합한 나이는 몇 세일까? 2018. 10. 19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그만큼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죠. 현행법률상으로 ‘노인’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모두 일컫습니다. 그런데 “몇 살부터 ‘노인’으로 간주하는 것이 합리적일까?”라는...
-
33편. 북한도 ‘저출산의 늪’에 빠진다? 2018. 10. 12 ▲ 출처: CNBC 최근 남북한의 화해 움직임에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서울과 평양에서는 지금까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었던 역사적인 장면들이 잇달아 펼쳐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모저모에...
-
32편. 적게 만들고 적게 팔아야 성공한다? 2018. 10. 10 우리 사회 인구쇼크의 대안으로 떠오른 ‘다운사이징 코리아’. 인구 감소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줄어드는 사회 크기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고안해 나가야 한다는 아이디어입니다. 인구가 줄고 고령화 되더라도 생활의 풍요로움을 실감할 수 있는 방안을...
-
31편. 정답은 ‘다운사이징’이다? 2018. 10. 05 ▲ 영화 ‘다운사이징’의 한 장면 (출처: 네이버 영화) ‘내 몸의 부피를 0.0364%로 축소시키고 몸무게도 2744분의 1로 줄인다. 대신 1억 원의 재산이 120억 원의 가치가 되어 왕처럼 살 수 있게 된다.’...
-
30편. 14억 중국에도 ‘인구쇼크’ 온다? 2018. 10. 02 ▲ 세계 1위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도 인구쇼크 위기에 당면했습니다 1,415,046,000명. 포털사이트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는 중국의 현재 인구입니다. 전 세계 인구 5명 중 1명은 중국 사람일 정도로 중국은 엄청난...
-
29편. 스웨덴의 워라밸에 저출산의 해결책이 있다? 2018. 09. 21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제작한 웹드라마 ‘I와 아이’ 1화의 한 장면은 대한민국 일하는 엄마 아빠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자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직장 상사의 눈치 때문에 육아휴직을 쓰지 못한 회사원 조 대리. 마침 아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