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칼럼
-
크리스마스, 비대면 기부로 산타가 되어볼까?
2020. 12. 24
크리스마스 전날, 아이들에게 선물을 전해주는 산타의 유래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요? 산타와 기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
온라인 권하는 사회와 디지털 과의존, 당연하던 것들을 기다립니다
2020. 12. 10
2020년 12월 3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사상 초유의 코로나 수능이 큰 탈 없이 마무리됐죠. 2020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수능을 비롯해 학교 교육에도 갑작스러운 혁신과 혼돈이 함께한 한 해였습니다. 어떤 이슈가 있었을까요?
-
눈감고 횡단보도 건널 수 있나요? 혹시 당신도 스몸비?
2020. 11. 10
하루에 스마트폰 얼마나 사용하시나요? 스마트폰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이 자리하고 있어서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스마트폰 의존과 스마트폰 중심의 생활은 보행 중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스몸비’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
비대면 소비 문화, ICT 플랫폼을 입고 진화하다
2020. 11. 05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우리 사회에는 큰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물리적인 거리를 두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기존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던 교육, 쇼핑, 문화생활 등도 온라인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어쩌면 ICT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소비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
코로나 시대, 피할 수 없는 스몰웨딩
2020. 10. 28
스몰웨딩(small wedding), 한 번쯤 들어 보셨을 텐데요. 허례허식에서 벗어나 소규모로 간소하게 치르는 결혼식을 의미합니다. 스몰웨딩은 선택 사항이었죠. 하지만 최근에는 코로나 확산 예방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이 되었습니다.
-
코로나19와 함께 커지는 ‘가짜 뉴스’ 피해, 알고리즘이 막을 수 있을까?
2020. 10. 06
정보를 왜곡하고 진실을 가리는 ‘가짜뉴스’. 가짜뉴스의 주제는 감염 예방부터 정치적 음모론까지 광범위합니다. 특히, 최근 가짜뉴스는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가짜뉴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홈트레이닝에 5G가 적용된다면?
2020. 09. 04
코로나 사태가 장기전에 접어들었습니다. 아마 집콕 하는 동안 군살 붙은 분들이 많을 겁니다. ‘확진’을 피하고자 ‘확 찐’이 되어버린 사람들. 대책이 시급한데요. 이들의 건강을 위한 해결책이 있으니 바로 ‘홈트레이닝’입니다. 이번 시간은 홈트레이닝이 5G와 결합하면 어떻게 진화할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
집에서 체온 측정, 어떻게 하시나요?
2020. 08. 25
체온 측정은 등교, 출근, 야외 활동 여부, 공공장소 입장 여부 등을 결정하는 생활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일상이 되어버린 체온 측정, 우리는 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활 속 거리두기와 일상의 변화
2020. 08. 10
생활 속 거리두기란 일상생활과 경제·사회 활동을 유지하면서 감염 예방 활동을 이어나가는 방역 체계를 말합니다. 지난 5월 6일 첫 시행 이후 3개월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우리 일상은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
5G MEC 기술로 로봇이 더욱 저렴해진다?
2020. 08. 03
R2-D2 같은 귀여운 자율주행 로봇이 2000년대에는 보편화될 줄 알았는데요.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는 로봇을 마주치기가 참 어렵습니다. 아직도 만들기 어렵고 비싼 로봇,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