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편. 이민자 수용의 경제효과는?
2018. 10. 23
▲ 독일은 적극적인 이민자 유입 정책으로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은 지금도 격렬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위) yahoo, (아래) spiked #1. 싱가포르 아시아의 금융허브 싱가포르는 1980년대부터 저출산과...
-
34편. 노인 기준 연령으로 적합한 나이는 몇 세일까?
2018. 10. 19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그만큼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죠. 현행법률상으로 ‘노인’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모두 일컫습니다. 그런데 “몇 살부터 ‘노인’으로 간주하는 것이 합리적일까?”라는...
-
33편. 북한도 ‘저출산의 늪’에 빠진다?
2018. 10. 12
▲ 출처: CNBC 최근 남북한의 화해 움직임에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서울과 평양에서는 지금까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었던 역사적인 장면들이 잇달아 펼쳐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모저모에...
-
32편. 적게 만들고 적게 팔아야 성공한다?
2018. 10. 10
우리 사회 인구쇼크의 대안으로 떠오른 ‘다운사이징 코리아’. 인구 감소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줄어드는 사회 크기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고안해 나가야 한다는 아이디어입니다. 인구가 줄고 고령화 되더라도 생활의 풍요로움을 실감할 수 있는 방안을...
-
30편. 14억 중국에도 ‘인구쇼크’ 온다?
2018. 10. 02
▲ 세계 1위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도 인구쇼크 위기에 당면했습니다 1,415,046,000명. 포털사이트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는 중국의 현재 인구입니다. 전 세계 인구 5명 중 1명은 중국 사람일 정도로 중국은 엄청난...
-
26편.서울의 인구는 줄지 않는다?
2018. 09. 11
▲ 서울은 명실공히 세계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명실공히 세계 최대 도시 중 하나입니다. 불과 몇십 년 전에는 전쟁의 폐허가 가득했던 서울은 세계적인 도시로 우뚝 섰습니다....
-
[프롤로그] 인구문제를 통해 보는 2018 대한민국
2018. 06. 05
▲ 여러분이 그리는 미래는 어떤 모습인가요? 여러분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계신가요? 혹시 불안한 미래가 먼저 떠오르진 않으신가요? 입시, 취업, 커리어, 결혼, 육아, 승진 등 다양한 미래가 떠오르실 텐데요. 지금의 청년...